본문 바로가기

쉽지않은 느림과 비움

신문을 오려 붙여서 복사하는 청년들

얼마전에 있었던 이집트 민주화운동에서는 트위터, 페이스북이 큰 역할을 하였다. 80년대의 우리나라에서는 신문기사를 오려서 회지와 행사순서지에 붙인 다음 여러 장으로 복사해서 나누어 읽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서 학내의 대학생 동아리에서 만드는 회보와 회지 등에는 어김없이 신문기사, 만화, 만평 등을 오려붙였다. 교회 대학부, 청년부에서도 순서지, 회지 등을 만들 때는 자기들이 관심 있는 기사, 칼럼, 만화 등을 오려붙였다. 충격적인 내용의 신문기사 제목만을 겹겹이 오려 붙여서 활용하기도 하였다. 요즘은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었다. 감춰진 진실에 대한 갈증이 만들어 낸 방식이었다. 김지하가 지은 <타는 목마름>이라는 제목의 시가 생각난다. 당시에는 언론검열이 심하였다. 신문, 방송사에서 권력의 횡포에 대한 내용을 보도하면 정보기관에서는 강제로 삭제하거나 담당기자를 체포하였다. 인권이 유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화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사실이 <~카더라> 통신을 타고 전국으로 전파되던 시절이었다. 그러다보니 어떤 것은 왜곡, 과장되는 것도 있었다. 권력자들은 이런 사소한 것을 트집 잡아서 유언비어라는 죄를 만들어 내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죄명으로 잡혀가는 사람들은 권력이 저지른 인권유린을 폭로하는 사람들이었다. 특히 용기 있는 기자에 의해 검열을 무릅쓰고 작성되는 기사가 있었다.

 이러한 사회분위기에서는 권력과의 관계가 구조화 되어있다. 당시에는 두 가지 유형의 사람들이 있었다. 권력의 횡포를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과 권력이 하라는 대로만 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권력이 금지시킨 것을 굳이 해야 될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한 사람들은 그러한 자기 행동이 절대 권력을 더욱 튼튼하게 도와주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다. 정확하게 이야기 하자면 정의와 진실보다는 자기 인생의 편안함이 더욱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분들은 신문기사를 오려붙여서 복사하는 행동을 좋지 않게 생각한다. 왜냐하면 정보기관에 잡혀가서 고문을 당할 수도 있고 신세를 망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학생이나 교회청년들이 이런 행동을 계속하도록 내버려두면 정보기관으로부터 방조자, 동조자로 몰려서 손해를 볼 것이므로 온갖 감언이설로 못하게 말리기도 하였다. 대학교 교수님들은 운동권 동아리들을 단속하느라고 바빴다. 동아리 지도교수제도가 만들어진 이후에는 더욱 심하였다. 운동권 동아리의 지도교수는 서로하기 싫어했으며 지도교수를 구하지 못하면 학교등록을 할 수 없었다. 말하자면 불법(?) 동아리가 되는 셈이다.

 막강한 권력이 지배하던 시절에는 권력에 빌붙거나 눈에 그슬리지 않고 잘 지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교회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의 지역 교회에서는 무엇이 감춰진 진실인지도 모르고 있었고,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힘있는 교회어른일수록 자신들이 고생하면서 쌓아온 기득권을 잃어버릴까봐 몹시 걱정하였다. 신문기사를 오려 붙여서 복사하는 교회청년들을 철부지라고 나무라면서 못하게 하였다. 말려도 되지 않는 청년이 있으면 외부 불순분자에 오염되었다고 매도하기도 하였다. 교회 청년들이 이러한 비난과 오해를 감수하기에는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몇몇 용기 있는 교회청년들은 십자가를 짊어지고 예수님의 뒤를 따르고자 하였다. 기도할 때에는 나라의 미래를 걱정하였고 자신의 용기가 부족함을 고백하기도 하였다. 붙잡혀 갈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서 감춰진 진실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번도 신문기사를 오려붙여 본 적이 없는 교회들은 어김없이 십자가보다는 은혜와 은총과 복주시는 하나님만을 찬양하였다. 자신이 무엇을 외면하는지에 대한 아무런 고민이 없었다.

  내가 갖고 있는 옛날 자료 중에는 진주제일교회 청년부가 발행한 회지 <새미>가 있다. 세권인데 창간호, 87년 11월의 제5호, 88년 3월의 제6호이다. 창간호의 목차를 보니까 시사펀치. 세상만평, 인권소식 등이 있다. 물론 그 외에도 올바른 신앙생활, 사랑, 그리움 등의 글도 있었다. 시사펀치를 보니까 “개헌문제를 국회 내에서 해결하자는 ... (말로만 ...), TV매스컴의 획일적 보도 (TV시청료 오히려 우리가 받아야...) ” 라고 적혀있다. 괄호 안에 있는 내용이 재미있다. 세상만평에는 신문에 게재되었던 만화, 만평이 실려 있는데 주된 내용은 개헌을 위한 가두서명운동이었다. 신문기사 제목도 겹겹이 오려 붙여 놓았는데 언뜻 보니까 서울대 최루탄, 돌멩이 범벅, 89년 개헌, 개헌가능, 필리핀의 민주혁명 등이 보였다. 인권소식란에는 민주. 통일 민중운동연합에서 전개하는 민주헌법쟁취를 위한 국민서명운동, 한국기독교장로회 교회사회위원회에서 개최한 개헌문제협의회 소식등이 이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민주헌법실현 범기독교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개헌서명 성직자 1,050명의 명단을 공개하였다는 기사에는 이 내용이 국내 각 일간지에는 전혀 보도되지 못했음을 설명해 놓았다. 제5호 목차에도 시사펀치, 시사만평, 국내외소식 등이 있었다. 특이한 것은 민주화 유감, 한반도의 핵, 한국사회 변혁과 기독교 운동의 과제등도 있었다. 어느 신문인지는 알 수 없지만 기자의 눈이라는 고정칼럼인데 <禁書해제와 當局태도>라는 신문칼럼이 실려 있었다. 신동아 제작방해, 사학비리 폭로, 기독병원 농성장 난입 등의 신문기사와 만화, 만평도 있었다. 제6호에는 만화만평, 국내외 소식이 있고 교회교육, 성서연구와 함께 지역운동의 현장을 찾아서, 1987년 기독교장로회 평신도 선언문이 실려 있었다. 국내외 소식에는 “박종철군을 물고문으로 죽인지 1년 만에 또다시 (개버릇 남주나!), 새 정부 각료들 그 얼굴이 그 얼굴 (대통령이 그 얼굴에 그 얼굴이니 )....” 등이 있는데 세상 일에 대한 교회청년들의 생각을 알 수 있다.

 진실은 언론탄압만으로 감춰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아마 이런 내용이 포함된 회지를 만드느라고 마음고생을 많이 했을 것이다. 말리시는 친구 아버님의 말씀을 듣지 않을 수도 없었을 것이다. 과연 우리가 잘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신이 서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지내온 20여년을 되돌아보면, 마치 최근의 이집트처럼 이들의 고민과 용기로 인하여 우리 사회는 몰라보게 좋아졌다. 지금은 모두들 50대가 되어서 지역사회의 버팀목이 되어 있을 것이다. 만약에 그 당시에 청년들의 행동을 어떤 이유에 의해서든 만류하신 분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미안하다고 말하는 것이 사람의 도리이다.